청년 전세자금대출 금리, 조건, 한도 비교
청년 전세자금대출은 청년들의 주거 안정을 위해 정부와 금융기관이 제공하는 대출 상품입니다. 각 기관 및 상품별로 금리, 조건, 한도 등이 다르기 때문에, 청년들이 자신의 상황에 맞는 대출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아래는 주요 청년 전세자금대출 상품들의 금리, 조건, 한도를 비교한 표와 설명입니다.
주요 청년 전세자금대출 상품 비교
상품명 | 대출 기관 | 금리 (연) | 대출 한도 | 대출 기간 | 주요 조건 |
---|---|---|---|---|---|
주택도시기금 청년 전세자금대출 | 주택도시보증공사(HUG) | 1.2% ~ 2.1% | 최대 1억 5천만원 | 최대 10년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무주택자, 연소득 5천만원 이하 |
LH 청년 전세자금대출 | 한국토지주택공사(LH) | 1.5% ~ 2.5% | 최대 1억 2천만원 | 최대 6년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무주택자, 소득 기준 충족 |
청년 맞춤형 전세자금대출 (시중은행) | 국민은행, 우리은행 등 | 1.5% ~ 3.0% | 최대 1억 5천만원 | 최대 10년 |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 무주택자, 은행별 소득 기준 충족 |
서울시 청년 전세자금대출 | 서울시 | 1.0% ~ 2.0% | 최대 7천만원 | 최대 6년 |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 무주택자, 서울시 거주 또는 예정 |
1. 주택도시기금 청년 전세자금대출
금리 및 한도
- 금리: 연 1.2% ~ 2.1%
- 대출 한도: 최대 1억 5천만원
조건
- 대상: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대한민국 국적자
- 소득 기준: 연소득 5천만원 이하 (부부 합산 시 7천만원 이하)
- 기타: 무주택자
대출 기간
- 최대 10년: 거치 기간 포함
2. LH 청년 전세자금대출
금리 및 한도
- 금리: 연 1.5% ~ 2.5%
- 대출 한도: 최대 1억 2천만원
조건
- 대상: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대한민국 국적자
- 소득 기준: 도시근로자 가구당 월평균 소득의 70% 이하
- 기타: 무주택자
대출 기간
- 최대 6년: 2년 단위로 연장 가능
3. 시중은행 청년 맞춤형 전세자금대출
금리 및 한도
- 금리: 연 1.5% ~ 3.0%
- 대출 한도: 최대 1억 5천만원
조건
- 대상: 만 19세 이상 34세 이하의 대한민국 국적자
- 소득 기준: 은행별 소득 기준 충족
- 기타: 무주택자
대출 기간
- 최대 10년: 거치 기간 포함
4. 서울시 청년 전세자금대출
금리 및 한도
- 금리: 연 1.0% ~ 2.0%
- 대출 한도: 최대 7천만원
조건
- 대상: 만 19세 이상 39세 이하의 대한민국 국적자
- 소득 기준: 서울시 거주 또는 예정
- 기타: 무주택자
대출 기간
- 최대 6년: 2년 단위로 연장 가능
결론
청년 전세자금대출은 다양한 상품이 있으며, 각 상품마다 금리, 한도, 조건 등이 다르기 때문에 자신의 상황에 맞는 상품을 선택하는 것이 중요합니다. 주택도시기금, LH, 시중은행, 서울시 등의 다양한 선택지를 고려하여 최적의 대출 상품을 찾으시기 바랍니다. 필요한 서류를 미리 준비하고, 대출 조건을 꼼꼼히 확인하여 안정적인 주거 환경을 마련할 수 있기를 바랍니다.